얽힘(Entanglement)을 기반으로 한 양자통신은 두 입자(예: 광자)가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도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며, 한쪽의 상태를 측정하면 다른 한쪽의 상태도 즉시 결정되는 양자역학의 특수한 현상을 활용한 통신 방식입니다.
이 방식은 양자 통신의 궁극적인 목표인 양자 네트워크, 양자 중계기, 양자 인터넷 구현의 핵심 기술이며, 기존의 BB84와 같은 단일광자 기반 QKD보다 더 강력한 보안성, 장거리 통신 가능성을 제공합니다.
🔷 얽힘 기반 양자통신 (Entanglement-based Quantum Communication) 상세 설명
✅ 1. 얽힘(Entanglement)이란?
● 정의:
두 개의 양자 입자(광자, 전자 등)가 한 시스템에서 생성되면, 이들의 상태는 개별적으로 정의되지 않고, 전체 시스템으로만 정의됩니다.
예:
∣Ψ⟩=12(∣H⟩A∣V⟩B+∣V⟩A∣H⟩B)|\Psi\rangle = \frac{1}{\sqrt{2}}(|H\rangle_A |V\rangle_B + |V\rangle_A |H\rangle_B)
- 여기서 ∣H⟩|H\rangle: 수평 편광, ∣V⟩|V\rangle: 수직 편광
- 측정하기 전까지 A와 B는 동시에 H 또는 V 상태일 가능성이 중첩됨
- A의 상태가 측정되는 순간, B의 상태가 즉시 결정됨 (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도)
✅ 2. 얽힘 기반 양자통신의 작동 방식
📌 기본 개념:
- **송신자(Alice)**와 **수신자(Bob)**는 같은 광자쌍 중 하나씩을 나눠 가짐
- 이 광자쌍은 **얽힌 상태(entangled state)**로 생성됨
- 두 광자를 아무리 멀리 떨어뜨려도, 한쪽을 측정하는 순간 다른 쪽의 상태도 즉시 정해짐
- 도청자가 끼어들 경우, 얽힘의 상관관계가 깨짐 → 보안 침해 즉시 감지
✅ 3. 대표 프로토콜: E91 (Ekert 1991)
📘 작동 원리 요약:
- 중앙 노드에서 얽힌 광자쌍을 생성 (SPDC 방식 등)
- 한 광자는 Alice에게, 다른 하나는 Bob에게 전송
- 두 사용자는 각자 임의의 측정 기저를 선택하여 측정
-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Bell 불평등(Bell’s Inequality) 위반 여부 확인
- 위반 시, 두 입자는 얽힘 상태 유지 → 보안 통신 가능
- 위반이 없다면 → 도청 의심, 통신 폐기
✅ 4. 주요 기술 요소
구성 요소 설명
광자 얽힘 소스 | Spontaneous Parametric Down-Conversion (SPDC) 방식으로 쌍생성 |
편광/위상/시간 얽힘 | 다양한 물리적 자유도를 얽힘에 활용 가능 |
Bell 측정 | 얽힘 상태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양자 상관성 검증 |
광 채널 | 자유공간, 광섬유, 위성 링크 등 가능 |
도플러 보정, 동기화 회로 | 얽힘 보존을 위한 정밀 시간 동기화 필요 |
✅ 5. 얽힘 기반 QKD vs 일반 QKD 비교
항목 일반 QKD (BB84 등) 얽힘 기반 QKD (E91 등)
광자 생성 | 송신자가 직접 상태 설정 | 중앙에서 얽힌 광자쌍 생성 |
키 생성 방식 | 송신자가 상태를 전송 → 수신자가 측정 | 수신자 쌍방 모두 측정값을 비교하여 키 생성 |
도청 탐지 | QBER 기준 | Bell 불평등 위반 여부로 감지 |
장거리 통신 | 광섬유 손실 제한 (200km 이내) | 중간 얽힘 중계기 활용 시 수천 km 가능 |
양자 중계기 | 필요 없음 (단거리) | 양자 중계기(quantum repeater) 필수 |
✅ 6. 응용 분야
분야 설명
위성 양자통신 | 얽힌 광자를 위성↔지상으로 전송하여 대륙 간 QKD 실현 |
양자 네트워크 | 얽힘 기반 노드 간 연결로 양자 인터넷 구현 |
양자 중계기 (Quantum Repeater) | 광손실 극복 위해 얽힘 분포 + 양자 메모리 조합 |
분산 양자컴퓨팅 | 얽힘 상태로 원거리 양자 시스템 간 계산 공유 |
✅ 7. 시각적 요약 – 얽힘 기반 통신 흐름
[ 얽힘 광자쌍 생성기 ]
│
┌────┴────┐
│ │
[Alice] [Bob] ← 각각 얽힌 광자 1개씩 수신
│ │
측정 측정 ← 무작위 기저 선택
│ │
└────┬────┘
▼
Bell 불평등 확인 → 위배 O → 키 생성 / 위배 X → 도청 의심
✅ 정리 요약
항목 설명
얽힘 상태 | 측정 전까지 상태가 결정되지 않으며, 한쪽 측정 시 다른 쪽도 즉시 결정됨 |
주요 장점 | 도청 탐지 강화, 양자 중계기 도입 가능, 미래형 양자 네트워크 기반 |
기술 난이도 | 얽힘 소스 정밀도, 장거리 전송 안정성, 동기화 기술이 핵심 |
보안 메커니즘 | Bell 불평등 위반 여부를 통한 도청 탐지 및 상태 검증 |
필요하시면:
- SPDC 기반 얽힘 광자 생성 회로,
- 위성 얽힘 통신 시나리오,
- 양자 중계기 구성 원리 등도 이어서 설명해드릴 수 있습니다.
'홈-자료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DC와 DAC을 결합한 폐루프 온도 보정 시스템 (0) | 2025.04.18 |
---|---|
SPDC(Spontaneous Parametric Down-Conversion, 자발적 파라메트릭 하향 변환) 기반 얽힘 광자(entangled photon) 생성 회로 (0) | 2025.04.18 |
양자통신(Quantum Communication) (0) | 2025.04.18 |
VCSEL, PLL 기반 트리거, TDC, 간섭계, SPD (0) | 2025.04.18 |
시간 간섭 Time-bin Qubit (0) | 2025.04.18 |